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개키암호화

(3)
[정보보안] 공개 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urcture)란? 공개키 암호와의 용도 1) 기밀성유지 -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필요 - insecure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싶을때 필요 2) 인증 3) 전자서명 - 무결성, 부인봉쇄기능을 제공 공개키 Notation [] : 개인키 {} : 공개키 private key : [M]alice. public key {M}alice {[M]Alice}Alice = M [{M}Alice]Alice = M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란 공개키 암호화와 전자서명을 사용할 수 있게 기반을 마련해둔 것이라고 보면된다. CA는 공개키를 발급해주는 인증기관을 말한다. 공인인증설을 발급해주는 금융결제원이라고 보면된다. CA에서 개인키를 생성하고 개인키를 기반으로 공개키를 만들고 이..
[정보보안] 공개키 암호화인 RSA에 대해서 RSA - 공개키 암호시스템, 암호화 뿐 아니라 전자서명이 가능한 최초의 알고리즘 - 소인수 분해의 난해함에 기반하여, 공개키만을 가지고는 개인키를 의미론적으로 아전한 암호화 시스템을 보장하도록 디자인됨. - 공인인증서 비밀번호 : 개인키를 푸는 암호화키 1. Key-pair generation (키 생성법) 1) p, q : 굉장히 큰 소수 (p != Q), 2) N = P X Q , N 을 modulus 3) (p-1)(q-1)과 서로소에 있는 정수 e를 찾는다. 4) e X d = 1 mod (p-1)(q-1) , e의 곱셈상의 역원인 d를 계산 N,e 를 공개키로 사용 d를 개인키로 사용한다. 예제) 1) 굉장히 큰소수 p, q를 정한다. p = 11, q = 3 2) N을 계산 , N = pq ..
[정보보안] 공개키 암호화의 특징 및 용도 대칭키 암호화 vs 공개키 암호화 1) 대칭키 암호화 : 암호화키 = 복호화키 / permutation, substtiuation [DES, AES, TripleDES ... ] 2) 공개키 암호화 (비대칭키) : 암호화키 != 복호화키 / 수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 (ex mod연산) [RSA ...] - 인터넷, 뱅킹, 인터넷 주식 거래 등이 가능 (공인인증서) ~ 이런 것들이 가능하게 된 것이 공개키 암호화 덕이다! - 공인인증서 파일을 들어가보면 공개키, 개인키 이렇게 두개가 있는걸 알 수 있다. - One Way function 단방향 함수 사용 ( ex. 소인수분해 factoring) - 두개의 소수 p, q 가 있을때 N구하는 건 쉽지만, N 이 주어졌을떄 p,q를 찾는건 어렵다. 공개키의 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