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ckend/정보보안

[정보보안] 공개 키 기반 구조(Public key Infrasturcture)란?

728x90

공개키 암호와의 용도

1) 기밀성유지

- 누구나 접근이 가능한 네트워크 환경에서 필요

- insecure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싶을때 필요

2) 인증

3) 전자서명 - 무결성, 부인봉쇄기능을 제공

 

공개키 Notation

[] : 개인키 
{} : 공개키
private key : [M]alice.
public key {M}alice

{[M]Alice}Alice = M
[{M}Alice]Alice = M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PKI란 공개키 암호화와 전자서명을 사용할 수 있게 기반을 마련해둔 것이라고 보면된다.

CA는 공개키를 발급해주는 인증기관을 말한다. 공인인증설을 발급해주는 금융결제원이라고 보면된다. 

CA에서 개인키를 생성하고 개인키를 기반으로 공개키를 만들고 이를 통해 인증서를 발행한다. 

 

인증기관 (CA : Certificate Authority)

1. 인증서 발급 받기 

Your Computer                          (공인,사설) 인증기관

 1) 공개키{N,e}                        ->

 (인증서)                               <-

 2) 개인키 {d} (공인인증서 비밀번호로 암호화됨)

 

2. 인증서가 필요한 이유

공개키는 기밀성이 필요없으나 무결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공개키를 인증기관에서 서명을 인증서에 기록, 수정하거나 변조 되어 있을때 방지

 

3. 금융결제원

- 인증서는 발급자의 공개키를 가지고 인증한다.

- 발급자는 인증서를 변조되었는지 파악을 한다.

 

대칭키 vs 공개키
대칭키 : 빠르다, PKI가 필요없다
공개키 : 전자서명, 사전에 키 공유 필요없다.

 

실생활에서는 공개키와 대칭키를 혼용해서 사용한다.

공개키는 키를 설정하기위해, 대칭키는 암호화 하기 위해 사용(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PKI - 해시넷

PKI(Public Key Infrastructure) 또는 공개키 기반구조는 디지털 증명서의 생성, 관리, 배포, 사용, 저장 및 파기, 공개키 암호화의 관리에 필요한 역할, 정책 등 일련의 절차들을 집합한 것이다. PKI(Public K

wiki.hash.kr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