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restapi

(3)
[WEB] URI 규칙 10가지 1. 슬래시 구분자는 계층 관계를 나타내는데 사용한다. 2. URI 마지막 문자로 ( / ) 는 포함하지 않는다. 3. 하이픈( - )은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한다. 4. 밑줄( _ )은 사용하지 않는다. 5. 대문자보다는 소문자를 사용한다. 6. 파일 확장자는 URI에 포함하지 않는다. 7. 프로그래밍 언어에 의존적인 확장자를 사용하지 않는다. 8. 자원에 대한 행위는 동사가 아닌 HTTP Method로 표현한다. 9. 경로 부분 중에서 변하는 부분은 유일한 값으로 대체한다. 10. API에 있어서 서브도메인은 일관성 있게 사용해야 한다.
[Spring] 스프링에서의 Restful web Service Restful web service를 스프링에서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기존의 Spring 방식은 밑의 방식과 같다. request를 받으면 Dispatcher Servlet이 받고, Handler Mapping을 통해 어떤 컨트롤러로 보낼지 결정해서 Service, DAO를 거쳐 View를 만들어 다시 Response로 Client로 보내주는 방식이였다. Controller는 단순히 object(객체)를 return한다. 이 object data(객체데이터)가 json/xml 형태로 HTTP response 메시지에 담겨서 전달이 된다. @RestController, @RequestBody, ResponseEntity class, @PathVariable을 통해 REST API를 구현하게 된다. 1..
Restful Web Service 어떻게 하면 웹서비스를 편안하게 개발할까? Rest에 대해 학습 이유? 백엔드 개발자의 시작은 바로 프론트엔드와 연동하기 위한 API 개발이다. 그래서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로 마음을 먹었다면 ‘원하는 기능의 API를 만들어야지’ 라고 생각 하면된다. 그중에서도 REST API를 시작하면 좋은 이유는 오랫동안 API개발의 표준 처럼 사용 되어 왔고 서버개발의 전반적인 흐름을 이해 하는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GraphQL을 도입하는 회사들도 많아지고 개발 생산성도 좋은 편이지만 아직 까지는 좋은 백엔드 개발자가 되기 위해서는 REST API를 먼저 익히고 학습 하는게 좋다고 생각한다. RestFul Web Service란 무엇인가?? => URI + HTTP standard method를 통해 ..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