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공개키

(2)
[정보보안] Diffie-Hellman란? 대칭키, 공개키암호의 차이 - 대칭키 암호 : 속도가 빠르다, 키 공유가 필요하다. - 공개키 암호 : 속도가 느리다, 키 공유가 필요없다. 대칭키 암호 예 전화 : 가입자 이동통신사, 대칭키는 유심에 심어져 있다. 카톡 : 가입자 카톡, 대칭키는 분배 정책에 의해 할당되어 있다. 대칭키 암호에서 필요한 키의 개수 Alice, Bob, Carlie : (2 * 3) / 2 = 3 공개키 암호에서 필요한 키의 개수 n명이 존재할 경우 2n = O(n) Diffie-Hellman - key exchange 암호화 키 - 공유된 대칭키를 설정하기 위해 사용한다. - 암호화나, 전자서명을 위한 알고리즘이 아니다 - RSA는 소인수분해의 어려움에 기초하고 있지만, DH는 discrete log problem에 기..
[정보보안] 공개키 암호화의 특징 및 용도 대칭키 암호화 vs 공개키 암호화 1) 대칭키 암호화 : 암호화키 = 복호화키 / permutation, substtiuation [DES, AES, TripleDES ... ] 2) 공개키 암호화 (비대칭키) : 암호화키 != 복호화키 / 수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 (ex mod연산) [RSA ...] - 인터넷, 뱅킹, 인터넷 주식 거래 등이 가능 (공인인증서) ~ 이런 것들이 가능하게 된 것이 공개키 암호화 덕이다! - 공인인증서 파일을 들어가보면 공개키, 개인키 이렇게 두개가 있는걸 알 수 있다. - One Way function 단방향 함수 사용 ( ex. 소인수분해 factoring) - 두개의 소수 p, q 가 있을때 N구하는 건 쉽지만, N 이 주어졌을떄 p,q를 찾는건 어렵다. 공개키의 용..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