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개발자 면접

(2)
[개발자 면접] 참조의 지역성이란? 가상메모리란? Q. 메모리 계층 구조의 목적과 참조의 지역성에 대해 설명해보세요. cpu의 속도가 메모리의 속도를 다라가지 못해 계층적으로 구성했고, 캐시메모리를 사용한다. 참조의 지역성이란 코드나 데이터 등이 짧은시간내에 재사용되는 프로그램의 특성이다. 이를 통해 메모리 계층구조가 성공할 수 있었다. Q. 가상메모리에 대해서 설명해보세요. 메인 메모리의 크기가 한정되어 있어 물리적인 메모리크기보다 큰 프로세스를 시행시킬수 없어 가상메모리를 사용한다. 프로세스에서 사용하는 메모리 주소와 실제 물리적 메모리 주소는 다를 수 있다. 메모리 부족해서 가상메모리를 사용하는 것은 맞지만, 가상메모리를 쓴다해서 실제 메모리처럼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실제 메모리 안의 공간이 부족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지 않는 데이터를 빼내어 가상..
[개발자 면접] 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 스케줄링의 차이 Q. 선점형 스케줄링과 비선점형 스케줄링의 차이 선점형 스케줄링이란 실행중인 프로세스나 스레드를 강제로 중단시키고 다른 프로세스를 실행시키는 것이다. 비선점형 스케줄링은 그렇지 않은 것이다. 현대 운영체제는 선점형 스케줄링을 사용한다. 비선점형 스케줄링은 컨텍스트 스위칭이 적어 오버헤드가 적다는 장점이 있지만 간단한 작업에서 오래 기다릴 수도 있는 문제가 잇다. 예시) FCFS : 큐에 도착한 순서대로 실행시키는 비선점 스케줄링 기법 RR : 일정시간 간격으로 번갈아 사용하는 선점 스케줄링 기법, 기아 현상이 없다. 컨텍스트 스위칭 오버헤드가 크다.

728x90